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

[4월 국내시황]향후 2달간 흐름이 25년 국내지수를 결정한다

by 차트도슨트 2025. 4. 2.
반응형

안녕하세요. 차트도슨트입니다. 
시장의 급락 및 급등으로 인하여 대응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2일간의 시장의 모습을 같이 살펴보고,

분석해 볼까요? 
 
위의 그림은 25년 3월 31일 급락한 날의
코스피 월봉차트입니다. 24년 12월에도
언급드렸듯이 코스피는 장기추세상 월봉상
구름대 지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래서
12월에도 급반등이 난 것이구요. 3월 마지막
주에 1월부터 3개월간 상승에 대한 조정이
나왔는데,  나스닥 급락으로 코스피는 3월
음봉을 만들 었습니다. 
 
사실 현재 구간에서 코스피 월봉은 양봉이냐
음봉이냐가 중요한 구간은 아니고, 2489

포인트를 하회하지 않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이미 코스피는 월봉상 구름대 지지는 받았고,
구름대 안에서 놀고 있는 상태라 위아래 변동
성은 존재할 수 밖에 없으며, 4월 기준 2533

인트 이상에서 마감을 해야 좋습니다. 
 

코스닥 월봉 차트 보겠습니다. 
코스닥은 이미 월봉상 구름대를 이탈한지
오래됐습니다. 3월 고점도 구름대 상단 저항
에서 만들어졌습니다. 12월 부터 상승한 
파동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코스닥지수는 
685포인트를 깨면 안됩니다. 
 
이제 다음날 4월 1일 국내지수를 같이 볼까요? 

제가 코스피는 2489포인트가 중요하다고 얘기
했습니다. 근처 변곡점에 오니 바로 반등을 하였
습니다. 3년전부터 지수 차트의 바닥일에는 꼬리
가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스피 월봉을 한번 볼게요. 월봉상 5월까지
저 구름위로 올라가야 추세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 코스닥 지수
분석에 대한 글은 5월까지 유효하기 때문에
중요 포인트를 기억하시면서 대응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3월 31일이 저점으로 유효하려면 금주

내에 5일선을 안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 나스닥도 쉬는 구간이라서 국내 시장도

큰 기대는 안하는게 좋을 거 같습니다. 또한 국내

지수를 구성하는 대형주들의 자리들도 새롭게

상승을 시작하는 자리가 전혀 아니기 때문에, 

하락하면 공략하는 보수적인 관점으로 보셔야

합니다. 바다의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굳이 낚시

하러 나가지 말고, 그냥 좀 쉬세요.^^

 

 

 
그리고 심각한 문제가 지수가 강해도 8개 대표

업종의 소수 종목들만 상승한다는 것이 문제인

데요 이제는 이런 시장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향후 20년간은 다 같이 가는 업종은 없다고

보셔야 합니다. 화(불)의 기운이기 때문입니다.

2004~2023년까지의 상승장과 동일한 형태로

보시면 절대 안됩니다.  
 
눈으로 매매하세요. 머리는 눈으로 입력된 정보를
감정을 개입시켜 왜곡합니다. 그저 에너지, 힘만
보시면 됩니다. 그게 시세를 가장 바르게 보는

방법입니다. 


 
** 해당 글은 개인의 단순 의견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