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진(BeiGene, 홍콩 06160)은 글로벌 항암제 개발 및 상업화에 특화된 바이오 기업입니다. 최근 사명을 비원 메디신스(BeOne Medicines Ltd.)로 변경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기업 개요 및 특징
베이진은 2010년에 설립된 중국계 바이오테크 기업으로, 세계 각지에서 저렴하고 접근성 높은 혁신 항암 치료제 개발을 핵심 미션으로 삼고 있습니다. 2018년 홍콩거래소에 상장한 이후, 글로벌 임상시험과 현지 영업을 직접 수행하는 자체 운영 체제를 구축해 CRO(임상시험수탁기관) 없이 빠르게 후보물질의 임상 검증과 상업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현재 11,000여 명의 직원과 자체 임상팀을 보유해 45개국 이상에서 임상시험을 진행 중입니다.
주요 사업 영역과 파이프라인
대표 제품인 브루킨사(Brukinsa)는 여러 혈액암 치료에 사용되는 저분자 신약으로, 글로벌 매출 비중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테빔브라(Tislelizumab)는 면역항암제로 주로 중국시장에서 매출이 발생하지만, 미국과 유럽에서 점진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두 주력 제품은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전체 매출의 60% 이상이 미국/유럽에서 발생해 베이진은 사실상 글로벌 바이오파마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최근 실적 및 재무 현황
2024년 연간 글로벌 총매출은 38억 달러, 4분기 매출은 11억 달러에 달하며 각각 전년 대비 55%, 78% 증가했습니다. 2023~2024년에는 영업 손실을 GAAP 기준으로 대폭 축소했고, 비 GAAP 기준으로는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매출 성장의 핵심 요인은 브루킨사의 글로벌 확장, 테빔브라의 NRDL(중국 국가보험급여 목록) 확대와 미국/유럽 시장 정착입니다.
글로벌 조직과 전략
미국 캠브리지, 중국 베이징, 스위스 바젤 등 글로벌 거점과 40여 개 국가에 지사를 두고 있습니다. 2024년 미국 뉴저지 호프웰에 8억 달러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제조 및 R&D 시설을 설립하며 글로벌 생산역량을 확대 중입니다. 본사 관할권을 케이맨 제도에서 스위스 바젤로 변경하며 ‘혁신의약품 글로벌 허브’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타 정보
중국업체 중에서도 ‘빅파마’들과 경쟁하며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약 8%가 중국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중국 내 로컬 항암제 점유율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시장 특성을 바탕으로, 자국 내 성장과 해외 매출 동시 확대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사명 변경(베이진→비원 메디신스)’은 글로벌 리브랜딩의 일환이며, 근본적으로 항암제 중심의 글로벌 바이오 기업이라는 비전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베이진은 바이오 신약개발, 임상 및 상업화 역량, 다국적 조직과 공격적인 투자, 글로벌 생산시설 등을 통해 전 세계 암 환자에게 혁신적 치료제를 제공하는 선두 기업입니다.
베이진(Beigene, 06160)의 주요 임상 파이프라인은 혈액암, 고형암 등 다양한 종양 치료제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글로벌 3상 임상시험과 적응증 확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대표 신약 및 주요 파이프라인
브루킨사(Brukinsa, BTK 억제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등 혈액암 중심으로 글로벌 진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손로토클락스(sonrotoclax)와 병용요법은 99% 전체 반응률을 보이며 CLL 1차 치료 임상에서 우수한 데이터를 입증. 미국, 중국, 유럽 등에서 매출과 시장 점유율 확대 중.
테빔브라(Tislelizumab, PD-1 면역항암제)
위암 및 식도암(ESCC) 등 다수 적응증에서 글로벌 임상 진행 중. RATIONALE-305 임상3상에서 진행성 위암 환자 생존기간 15.0개월(화학요법 병용)로 위약군 대비 사망 위험 20% 감소 등 긍정적 결과를 도출해 FDA 승인까지 진전. 17개 이상의 글로벌 임상 진행(11개 3상, 4개 2상) 중이며, 다양한 암종에 대한 적응증 확장 임상 다수.
신약후보·이중항체·혁신 파이프라인
BGB-16673(BTK 분해제)
기존 BTK 억제제에 내성을 보이는 CLL 환자 대상, Eli Lilly의 Jaypirca와 비교하는 head-to-head 글로벌 임상3상에 착수. 다양한 혈액암에서 기존 치료제 대비 우월성 시험을 진행. Nurix의 대조약에 맞서 pivotal 임상 중.
BG-60366(EGFR CDAC)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등에서 2024년 임상 진입, 기존 치료제(오시메르티닙) 내성 EGFR 변이에 효과 기대.
DLL3/CD3·STEAP1/CD3
이중항체 고형암 적응증 임상 진행 중. DLL3/CD3는 tarlatamab의 적응증 확대, STEAP1/CD3는 xaluritamig 임상 추진.
글로벌 공동 임상 및 협력
ANKTIVA(노가펜데킨 알파)와 테빔브라 병용
- ImmunityBio와 협력해 3상 임상(ResQ201A-NSCLC) 공동 진행. CPI 저항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대상 글로벌 등록 임상시험. 462명 환자 대상으로 미국, 중국 등 다국적 임상시험 시행
'중국홍콩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필독]중국 창신약 지원 정책 및 관련주 (2) | 2025.08.19 |
|---|---|
| 렌촹전자(002036) 기업소개 : 차량용 렌즈 대표 기업 (1) | 2025.08.19 |
| 강소형통광전자(600487) 기업소개 : 광통신 대표기업 (5) | 2025.08.14 |
| 중과서광(603019) 기업개요 : 고성능 컴퓨팅 파워 기업 (6) | 2025.08.14 |
| 중국 대표 증권 관련 미디어 5개 (3) | 2025.07.29 |